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오늘 뉴스는 윤석열 정부가 공직감찰반을 부활하기로 했다는 단독보도로 시작합니다. <br> <br>윤석열 대통령실과 과거 청와대의 가장 큰 차이 중 하나라면, 실세가 늘 자리잡았던 민정수석을 폐지한 거죠. <br> <br>그러면서 고위공직자의 비위를 감찰하던 민정수석실 산하 공직감찰반도 함께 사라졌는데요. <br> <br>정부가 대통령실이 아닌 국무총리실에 부활하는 안을 검토 중입니다. <br> <br>집권 2년차 개혁 드라이브를 걸기 위한 공직사회 기강 잡기라는 분석이지만, 사찰 논란이 재연될 거라는 우려도 나옵니다 . <br> <br>김호영 기자 보도 보시고 부활 배경과 의미를 아는기자와 살펴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청와대 민정수석실 폐지로 사라졌던 공직감찰반의 부활이 추진됩니다. <br> <br>여권 관계자는 "국무조정실 공직복무관실 산하에 고위공직자와 공공기관 임원들의 비위행위를 감찰하는 팀이 만들어질 예정"이라며 "팀 이름은 새롭게 정할 것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> <br>공직감찰반을 총리실 밑에 두기로 한 것은 대통령실이 직접 공직자 비위 정보 수집을 하지 않는다는 윤석열 대통령의 의지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[출근길 문답(지난 5월)] <br>"공직후보자에 대한 비위나 비위의혹에 관한 정보수집 있죠. 그것도 안 합니다. 대통령비서실이라는 데는 직접 그런 정보수집업무는 안 하고 받아서 해야 됩니다." <br> <br>해당 팀을 만들기 위해 검찰, 경찰, 국세청 등에서 10명 안팎의 인력을 파견 받을 예정인데 최근 지원자 공고까지 마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공직감찰반 부활을 두고 윤석열 정부 2년차에 개혁 드라이브를 걸기 위한 공직사회 기강잡기라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[제1차 국정과제 점검회의(지난 15일)] <br>"대한민국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선택이 아닌 필수 사항입니다. 그래서 이 개혁이라고 하는 것은 인기 없는 일이지만 회피하지 않고 반드시 우리가 해내야 합니다." <br> <br>공직감찰반은 문재인 정부에서 민간인 사찰 논란을 일으켰던 만큼 비판 목소리도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호영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이희정<br /><br /><br />김호영 기자 kimhoyoung11@ichannela.com